한국 웹툰(K웹툰)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또 한 번의 진화를 이뤄내고 있다. 단순한 디지털 만화를 넘어, 영상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으로의 확장이 본격화되며 K웹툰이 '스토리 원천 IP의 보고(寶庫)'로 떠오르고 있다.
네이버웹툰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K웹툰은 북미, 유럽, 동남아 시장까지 빠르게 확산됐다. '여신강림'과 '이태원 클라쓰' 등 인기작들은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와 함께 해외 시장에서의 조회수와 판매량이 폭등하며 웹툰 플랫폼 자체의 위상을 끌어올렸다.
애니화, 성공의 키워드가 되다웹툰의 영상화는 이제 단순한 부가사업이 아니라 IP 산업의 핵심 축이 되었다. 대표적 사례로는 '나 혼자만 레벨업(Solo Leveling)' 애니메이션이 있다. 2024년 일본에서 방영된 이 작품은 미국 크런치롤과 넷플릭스 등을 통해 동시 공개되었고, 방영 직후 일본 아마존 프라임 '애니메이션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다.이외에도 '전지적 독자 시점'과 '더 게이머', '이두나!' 등의 애니화 프로젝트가 공식화되며, K웹툰 기반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K웹툰 기반 애니메이션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약 48% 증가했다. 특히 애니메이션 수출 중 웹툰 원작 콘텐츠의 비중은 32%로 집계되어, 실사 콘텐츠 못지않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 기사의 전문은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기사 링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