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오늘하루 그만보기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로그인
전체메뉴열기
만화계 소식
‘세계 위안부의 날’맞춰 위안부 피해자 일생 담은 김금숙 작가 만화 <풀> 출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사장 김동화)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2016년 추진한 <스토리 투 웹툰 지원사업> 선정작이자 제14회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인 김금숙 작가의 <풀>이 흑백 장편만화로 출간된다.
2017-08-11
한국만화영상진흥원
0
URL 복사
이옥선 할머니의 일생 담은 흑백 장편만화 <풀>, 8월 14일‘세계 위안부의 날’출간
2016 <스토리 투 웹툰 지원사업> 지원 통해 프랑스 판권 수출, 프랑스어로도 출간 예정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사장 김동화)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2016년 추진한 <스토리 투 웹툰 지원사업> 선정작이자 제14회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인 김금숙 작가의 <풀>이 흑백 장편만화로 출간된다.
<풀>은 유난히 학교에 다니고 싶어 하던 여자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중국에서 일본군 ‘위안부’로 지내야 했던 시간을 보내고 55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이옥선 할머니의 일생을 흑백으로 담담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실제로 김금숙 작가는 작품을 그리기에 앞서 수차례 이옥선 할머니와 만나 취재를 진행했으며, 생생한 증언을 바탕으로 작품을 완성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피해자로만 바라보던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전쟁을 반대하는 평화운동가이자 인권운동가로 살아가고 있는 존재로 그려냈다. 또한, 폭력을 과장해 미움을 극대화시키기 보다는 할머니의 감정과 심리 상태를 이미지로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으며,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흑과 백의 단순함은 할머니의 증언에 힘을 실어준다.
<풀>은 국내 출간에 앞서 프랑스 델쿠르(Delcourt) 출판사에 먼저 판권을 수출해 프랑스어판 출간도 앞두고 있다. 김금숙 작가는 이번 <풀>의 본문 중 일부를 엮은 단편작품 <미자 언니>로 2016년 제14회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이번 작품은 ‘세계 위안부의 날’에 맞춰 8월 14일 출간된다. ‘세계 위안부의 날’은 1991년 김학순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통해 위안부 생존자 중 최초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증언한 일을 계기로 세계 각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지정한 날이다.
또한 김금숙 작가는 2014년 앙굴렘국제만화페스티벌에서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개최한 <지지 않는 꽃> 전시회를 통해 단편만화 <비밀>을 발표한 이후, 세계가 공감하는 보편적인 인권 문제인 위안부 문제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해야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풀>을 기획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보리출판사에서 출간한 김금숙 작가의 장편만화 <풀-살아 있는 역사,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증언>은 8월 14일부터 전국 주요서점 및 온라인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가격은 26,000원이다.
한편, 김금숙 작가는 1971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세종대 회화과를 거쳐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고등장식미술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조각가이자 만화가로 15년 넘게 활동하면서 100권 이상의 한국 만화를 프랑스어로 번역해 출간, 세계적으로도 실력을 인정받았다. 대표작으로는 프랑스에서도 출간된 <꼬깽이>, <아버지의 노래>, <지슬> 등이 있다. 우리나라 원폭 피해자에 대한 그림책 <할아버지와 보낸 하루>를 출간하는 등 소외되고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화와 그림책을 통해 따스하고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전글
만화·웹툰 산업 정책 토론회 열려
2017-07-07
다음글
<제4회 한, 벨 만화교류전>, <웹툰전> 개최
2017-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