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여수출생
목재상의 아들로 태어나 중학교 떄 부터 가진 만화에 대한 관심은 고등학교 때 절정을 이뤄, 학교 가고 식사하는 시간외에는 꼬박 책상에 앉아 만화만 그렸다.. 부모는 반대하였지만 만화가의 길이라는 운명의 포로였다.
여수 고등학교 시절에는 허영만과도 알게 되어 정보 교류는 물론 능력을 겨루는 등 만화에 관한한 모르는 게 없을 정도가 되었다.
여수공고를 졸업하던 1967년 서울로 상경하여 출판사, 작가들을 찾아다니며 작가의 길을 찾아 봤으나, 문하생 고참 단계인 데생맨이 될 정도의 실력을 갖춘 그의 능력을 누구도 알아봐 주는 이가 없어 낙향을 하게 된다.
후에 다시 한 번 상경하여 동물만화 전문가로 인기 있던 최경 선생 문하에서 1년간 어시스트로 일하며 경험을 쌓았으나 군 입대로 꿈을 다시 중단하야만 했다.
제대 후 어렵사리 인기 만화가 박기준 선생 문하에 입문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능력을 키워 갈수 있었다. 당시 박기준 작가의 문하에 있던 이상무, 배금택 등과는 함께 문하생 생활을 하면서 정보도 공유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박기준 작가의 문하생으로 5년간 일하면서 결혼도 하고, 고질적인 병으로 어려움을 격기도 했다.
당시 먼저 상경했던 고향 친구이자 라이벌이던 허영만은 소년한국도서 신인 공모전에 당선되어 프로 작가로 활동하고 있었으나, 고행석 작가는 1980년 소년한국도서에 신인 공모전 응모에 실패하면서 라이벌인 허영만에게 패하였다는 생각에 크게 낙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런 그를 아까워하던 편집인들의 도움으로 1980년 <아빠 아빠 우리 아빠>로 데뷔에 성공한다.
그리고 <해와 달>, <폭풍열차> 시리즈, <굴뚝새>(후일 영화로 제작)를 펴낸다. 1984년에는 <요절복통 불청객> 시리즈 6편을 펴내며 대박을 터뜨리게 된다. 이후에는 <괴퍅구단과 불청객>, <참새와 늑대>, <전설의 야구왕>, <스포츠 가족> 시리즈로 인기질주를 하게 되며 <전설의 야구왕>(「아이큐 점프」 연재), <마법사의 아들 코리>(「소년 챔프」 연재, 대원동화 애니메이션 제작), <불패>(1990년 소년 챔프 연재), <천방지축 불청객>(「스포츠 조선」 연재), <무공해 가족>(「월간 점프」 연재)을 연재하게 된다.
고행석은 만화같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어리숙해도 할 일은 다하고, 목표가 없는 것 같아도 꾸준히 발전하고, 매력없는 인간상을 떠올려 가능케 했다.
현대판 <형사 콜롬보>, 같은 스타일의 캐릭터 성격 묘사로 독자와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감동의 눈물을 주었다.
만화창작 이외에는 아무런 욕심도 없고, 만화를 하지 않았다면 이미 저세상 사람이 됐을지도 모른다며 만족해하며 살고 있다. 그의 동료들과 독자들은 그가 다시 한 번 건강히 창작에 도전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 배금주의와 이기주의가 날로 판치는 오늘날에 필요한 캐릭터, 항상 손해 보며 살지만 희망을 성공으로 이끌고 꿈을 이룬다.(1984년 장미문고 발행)
△ 지방에서 상경, 중화반점에 어렵게 취직하여 엉뚱한 일을 벌이며 사고도 치지만 능력을 발휘하여 사장 딸과 가까이 지낼 정도 위치에 이른다.
정의감에 불타는 소영웅의 풍자 극화
△ <전설의 야구왕>(1997년 도서출판 틴틴)
‘아이큐 점프’에 연재하면서 외국작가까지 포함한 인기작가 투표서 1위로 선정한 작품으로 고행석의 대표 야구만화 시리즈
△ <전설의 야구왕>(1997년 도서출판 틴틴)
드디어 벌어진 대결!포기할 줄 모르는 상대는 뒤에서 복수심으로 새로운 음로를 계획하고...
시합 중에 잇달아 일어나는 소동으로 인해 경기장은 아수라장이 되는데...
△ 고행석의 걸작들
상좌: <굴뚝새>(1980년 이야기 문고 발행), 상우: <참새와 늑대>, 하좌: <스포츠가족>, 하우: <전설의 야구왕>(1980년)
△ 잡지 표지 그림(1989년 2월 23일호 「주간 아이큐 점프」)
잡지표지에 작가의 캐릭터를 넣는다는 것은 정상의 작가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것은 표지 선택에 따라 판매에 엄청난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이상무, 허영만과 인기를 나란히 한 최고 잡지 연재 시대
△ 왕불청객
강한주먹으로 세계챔피언이 된 구영탄은 그 순수함이 알려져 국민적 영웅으로 떠오른다.
구영탄의 못생긴 용모와 무식함을 혐오하고 미워하던 은하도 마침내 그의 순수함에 감동, 결혼을 승낙한다.
△ 카툰 <양보의 미덕>(1993년 신한국 만화포스터전 출품작)
△ 일본만화가 협회의 초청으로 「소년 점프」 편집실 방문(1992년 6월)
우: 박봉성(한국만화가협회 부회장), 고행석(당시 한국만화가협회 이사), 황재(한국만화가협회 이사), 권영섭(한국만화가협회 회장)
△ 일본만화가 야구치 다카오(矢口高雄)와 함께(1992년 워커힐 연희석에서)
좌: 필자, 야구찌 다까오, 고행석
△ 한국만화예술원 초청 특강
△ 팬들과 함께 고행석 화실 앞에서 기념촬영
1947년 대구 출생
초등학교 상급생시절 집안이 어려워 동생들을 데리고 돌봐주는 일도 해야만 했다. 지나간 달력 뒷장에다 상상한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려가면서 이야기를 해주자 동생들은 재미있어 했다.
그러다보니 만화를 그려 응모해볼 용기도 생겨 서울의 출판사와 작가에게 보낸 것이 인연이 되었다.
유명한 시사만화가 안의섭선생이 출간했던 「소년 두꺼비」 잡지에 참여케 되었다. 잡지사에서 청탁해서 들어온 원고와 편집부원들이 메꾼 그림은 물론, 컷, 삽화, 홍보만화, 캐리커쳐 등 약방의 감초처럼 필요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안의섭 선생은 영업에 문외한 이어서 잡지사 문을 닫게 되고, 함께 일하던 분의 소개로 「만화왕국」 잡지에서 편집일을 하다가 학원사에 취직하게 된다.
1973년 <아빠의 첫사랑>으로 데뷔하며 <만화의 시> 게재
1981년 「소년조선일보」 <꽃이야기>, <심청전> 연재, 「새벗」 <벅구의 행진곡> 연재
1982년 월간 「보물섬」 <만화로 보는 그림이야기) 연재
1987년 「주간만화」 <시사카툰 주간장터> 연재
1989년 「매주만화」 <샐러리맨 성공 보감> 연재
1996년 일본국제교류기금 초청 아시아 만화전 초대작가
1998년 「빅점프」 <열려라 섹스피아> 연재
1998년 부천만화정보센터 소장
2001년 서울카툰회 회장, 대통령 표창(만화문화 발전공로)
2006년 (재)부천만화정보센터 이사장
2011년 (사)한국만화가협회 회장
조관제는 KBS문화사업단 편집부 때부터, 신문, 잡지 등에는 공간을 메울 짧은 볼거리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꼈다. 틈틈이 카툰작품을 깊이 연구하여 전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라는 것을 깊이 깨닫고, 개척하고자 다짐했다.
1985년 「만화광장」, 1987년 「주간만화」 창간과 더불어 사이로, 김마정등과 함께 ‘서울카툰회’를 결성하였고, 참여회원이 부쩍 늘어나기 시작했다.
지금도 무크지 「카툰의 세계」, 「카툰」 등을 펴내며 칠순나이에 몸도 돌보지 않고 작업을 계속하고 있어 독자들과 동료들을 걱정하게 하고 있다.
만화계의 행정분야와 카툰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일등공신으로 만화사에 기리 남을 것이다.
△ 취생몽사전(2007년 10월 31일 인사동 관훈갤러리)
△ 취생몽사전 전시 작품
우리나라 1세대 카툰작가로 37년간 살아온 내공을 38점의 작품을 통해 유감없위 발휘하였다.
△ 조관제 카툰의 캐릭터들
△ 카툰작품 <뜨게질>
△ 카툰작품 <범인찾기>(1997년 8월 15일)
국제 FECO KOREA ‘카툰전시관’ 게재
△ 조관제의 만화의 시 <조관제 농담>
△ 조관제의 만화의 시 <사랑이란?>
△ <열러라 섹스피아>(1999년 「빅 점프」 연재)
아딤과 이브, 그 이후에 일어난 성의 모든 것! 성풍속화, 성에 얽힌 에피소드 그리고 동서고금 모든 성의 역사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 성인만화 <땡큐 아담>
△ 아동만화 <돌방이와 뚝딱이>
△ 김광묵 시와 카툰 <내고향 부천>
만화가가 부르는 현대시 100선(2008년 부천시청 전시관)
△ 카툰 <서당>(2005년 유니세프 전 출품작)
△ <시사카툰>
△ 카툰연하장(1999년)
만화문화도시 부천 홍보용 연하장
△ 카툰연하장(2008년)
노인인식 개선 카툰 전시회 출품작
△ 카툰 <어머니> (만화정보지 「코믹타운」개제 2009년 7월호)
△ ‘화로동선’ 전(2011년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전시관)
여름 난로, 겨울 부채는 필요에 의해 쓰여지는 인간세상을 매정하게 풍자한 작품
△ 무크지 「카툰」(2014년 11월 (사)한국카툰협회 발행)
△ 단행본 「카툰 3분의 명상과 웃음」(1992년 서울카툰회 지음, 서울창작 발행)
△ 일본 오오미야시(大宮) 아시아 만화전 출품 초청 작가로 참가(2003년, 뒤쪽 네 번째 조관제)
△ 한일 만화가 연하 엽서 교류전(2008년)
10년간 한일 양국의 작가들이 참가하여 한일 양국에서 순회전으로 열렸다.
좌: 장태산, 이두호(세종대 교수), 필자, 손기환(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회장), 조관제(부천만화정보센터 이사장),
심일보(SBA 대표이사), 이현세(만화가협회 회장), 사이로, 김원빈, 조항리
△ 취생몽사전 축하객들과 함께(2007년 10월 인사동 관훈갤러리)
좌: 한영섭(상명대 학장), 필자, 이와미세이지(일본 작가), 조관제
△ 교토 아시아만화 서미트 참가 후 귀국차 간사히 공항에서(2008년)
좌: 필자, 이현세, 조관제, 황미나, 박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