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리뷰

초기화
글자확대
글자축소

<발버둥치다> : 다시, 당당하고 씩씩하게

<발버둥치다>/dong****/네이버웹툰

2022-06-08 문종필

external_image

 



<발버둥치다> : 다시, 당당하고 씩씩하게

 

 

연민은 힘이 세다. 연민은 그 어떤 감정보다도 위대하다. 어떤 방식이든지 이 감정은 우리를 붙들게 만든다. 지나가던 누군가를 멈추게 하고 관심 없던 대상에게 관심을 쏟게 만든다. 그렇다. 이 감정은 타자를 흔들어 관심을 유발시킨다. 그렇다고 해서 이 감정을 무조건 믿을 수 없다. 때론 맥없이 쓰러지기도 한다. 나보다 타자가 낮은 위치에 놓여 있거나 동등할 때 샘솟는 감정이니 그렇다. 위치가 역전되거나 동등하다는 인식이 사라지면 이 감정은 무섭게 도망친다. 그때 우리는 동일한 대상을 쳐다보아도 더 이상 연민이 샘솟지 않음을 경험한다. 동일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대상과 마주하는 것이다. 흐르는 시간이 원인일 수도 있고, 역전된 상황이 이유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더 이상 당신을 통해 의 모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출처] 네이버웹툰/발버둥치다/dong****

 


이 짧은 리뷰에서는 연민과 관련된 작품에 대해 쓸 예정이다. 물론, 여기서 연민은 필자가 함부로 동정한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응원에 가깝다. 정식 웹툰에 도전하고 있는, 진행 속도가 더딘(?),󰡐김길규󰡑(이하 길규로 표시)의 웹툰 발버둥치다가 그것이다. 길규는 웹툰을 시작하면서 지나치게 솔직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라고 적었다. 그리고 첫 회에 우울증을 앓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포문을 열었다. 길규는 지금으로부터 3년 전, 2019524일 그런 계획을 세웠다. 작품 제목 자체가 발버둥치다이니 독자들은 그의 간절함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길규의 이런 다짐과는 다르게 작품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붙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일까. ‘일까. ‘보다는 이 더 정확한 표현이 될 듯하다. 나는 길규가 속도를 냈다고 또는 냈다는 뉘앙스를 품겼지만 내 발언은 수정되어야 할지 모른다. 이 작품은 어쩌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완성될 수 없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느리고 느리게 독자들은 웹툰이 진행되는 과정을 곁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길규의 고백처럼 우울증은 좀처럼 물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증상은 몸에 기생하는 곰팡이 균처럼 한번 찾아오면 쉽게 물러나지 않는다. 좀비와 닮았다.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현재 오트사부아(Haute-Savoie)에 살고 있는 마드무아젤 카롤린의 작품 추락, 우울증 심연 일기(2018)는 그것을 증명해 준다. 주인공 카롤린은 우울증의 심연으로부터 회복과 자유를 갈구했지만 끝내는 곁에서 응시해야 할 대상으로 받아들인다. 그녀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가위(X)타투를 새겨 그 자국을 볼 때마다 평온 절정훈련을 감행한다. 문신文身 새기는 행위는 잊고 싶지 않은, 그 무엇을 기억하겠다는 맹세의 행위이니 죽을 때까지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방법은 어둠이 자신을 삼키는 방식에 저항해 어둠 속으로 직접 뛰어드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카롤린은 새로운 길을 찾는다. 궁극적으로는 이 과정을 그림으로 옮겨 자신을 치유한다. 치유가 아니더라도 를 살리려고 애쓴다. 그러니 길규 역시 최선을 다해 지금 이 순간까지도 우울증을 응시하고 있겠다. 어떤 방식이든 행복은 중요하니까. 행복은 무조건이니까

행복을 두고 타협할 수 없으니까.

 

독자들은 그런 작가를 응시하면서 자연스럽게 연민의 감정을 발동시키게 되고 그를 응원하게 된다. 지금 이 순간 글을 쓰고 있는 나도 마찬가지다. 작가 또한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길규는 7화에서 자극적인 소재라 하더라도 안 보는 경우가 허다해 사람들이 네 만화를 읽어 주는 건 다른 이유가 있을 거야. 어쩌면 길규라는 캐릭터가 어떻게 자라는지 궁금해서가 아닐까?”라는 상담 선생님의 발언에 걷던 걸음을 잠시 멈춘다. 길규 또한 이 대목에 힘을 실었다. 그렇다면 이 작품의 진행 상태는 어떠할까.

 

지금 현재 이 작품은 37회 연재되었다. 길규는 히키코모리()처럼 집 밖을 나가지 못한다. 매일 자고 또 잔다. 씻는 것이 힘들어 한 주 동안 씻지 못한 적도 많다. 집이라도 깨끗하면 마음이 편할지도 모르겠지만, 청소 또한 쉽지 않다. 길규는 무기력한 일상을 보낸다. 길규가 키우는 반려 고양이 포야와 식물도 마찬가지다. 마음을 주지 못한다. 그런 상태를 닫힌 상자로 비유하는 게 흥미롭다. 상자를 열기 위해 애쓰지만 상자가 열리지 않는 마음 상태다. 누군가의 도움으로 운 좋게 상자를 열 수 있을지라도 상자 안에 또 다른 상자가 숨겨져 있다. 답답함이 목을 조른다. 그래서 길규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죽음 속에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헤아린다

때론, 성 정체성이 길규를 흔든다.

 

하지만 이 웹툰은 길규의 무너짐만을 기록하지 않는다. 상처가 낫는 과정을 곳곳에 숨겨 둔다. 그것은 바로 길규가 웹툰을 통해 자신을 그리는 행위 자체다. 이 과정 속에서 길규는 처음으로 자신이 키우던 포야를 챙기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런 다짐이 있었던 순간 포야는 수의사에게 안락사를 권고 받는다. 사랑할 준비가 되었는데, 사랑할 존재가 눈앞에서 사라져야 하니 길규는 힘겹다.

 

 

[출처] 네이버웹툰/발버둥치다/dong****

 

 

그러나 그때부터 길규는 애정(의지) 쏟는 법을 배우기 시작한다. 그러니 길규의 삶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 같다. 따라서 한 명의 독자로서, 글을 쓰는 평론가로서, 길규의 삶을 자연스럽게 응원하게 된다. 이것은 연민일까. 단순한 응원일까. 포야의 죽음에 대해 다룬

37화에서 길규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네가 덜 그리워지진 않겠지만,

이 슬픔을 다룰 줄 아는 성숙한 사람이 될 것이다.

 

그렇다. 이 다짐처럼 길규의 모험이, 길규의 삶이, 길규의 성숙한 모습이 <발버둥치다>를 통해 더 자주 만나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언젠가는 당신의 이야기가 두툼한 책으로 옮겨질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나는 37편의 <발버둥치다>를 읽고 구독을 결심한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클릭해 보기를 권한다. 당신 또한 마찬가지로 길규를 응원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길규와 같이 우울증으로 인해 힘겨운 삶을 살아 내는 길규에게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이 마음은 당신에게 하나의 작은 혁명이 될 수 있다.



필진이미지

문종필

글쓴이 문종필은 평론가이며 지은 책으로 문학평론집 〈싸움〉(2022)이 있습니다. 이 평론집으로 2023년 5회 [죽비 문화 多 평론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밖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만화평론 공모전 수상집에 「그래픽 노블의 역습」(2021)과 「좋은 곳」(2022)과 「무제」(2023)을 발표하면서 만화평론을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