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오늘하루 그만보기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로그인
전체메뉴열기
칼럼
앙굴렘의 작가 레지던스, 작가의 집
만화 페스티벌로 알려진 프랑스의 작은 도시 앙굴렘에는 만화,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작가들을 위한 작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있다. 2002년7월에 시작된 이 ‘작가의 집’(La maison des auteurs) 은 작가의 순수 창작 작업 후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100여 명의 작가들이 이곳을 거쳐갔다.
2014-09-30
박윤선
0
URL 복사
만화 페스티벌로 알려진 프랑스의 작은 도시 앙굴렘에는 만화,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작가들을 위한 작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있다. 2002년7월에 시작된 이 ‘작가의 집’(La maison des auteurs) 은 작가의 순수 창작 작업 후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100여 명의 작가들이 이곳을 거쳐갔다.
해당 분야의 작가들은 개인 창작 작업(이 곳에선 주문 받은 일을 하기 위한 작업실로 쓸 수는 없다.)을 소개하는 서류를 1년 중 3번의 응모기간에 제출할 수 있으며, 이것이 작가의 집에서 받아들여지면 짧게는 몇 달에서 길게는 2년동안 작업실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료는 1년에 150유로. 이는 전기료와 난방비 등이 포함된 비용이다. 각 작가에게는 공동, 혹은 개인 작업실이 주어지며 몇몇 작가들에 한해서는 레지던스 기간 동안 주거공간도 주어진다(현재 작가의 집은 6개의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 작업실에는 각각의 작가들을 위한 개인 컴퓨터와 작업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스캐너(A4, A3), 복사기, 프린트, 라이트박스등도 구비되어 있다. 작가의 집은 또한 작가들이 자기 작업과 관련하여 법적 자문이 필요할 때, 이와 관련된 전문가와의 만남을 마련해주기도 한다.
레지던스 참여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련된 작가 지원금도 존재한다. 우선 프랑스 국립도서 센터 (Centre national du livre) 는 만화가(시나리오 작가 포함)들의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지원금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작가는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행해지는 지역이 아닌 다른 곳에서 거주 중인 상태여야 한다.
(
http://www.centrenationaldulivre.fr/CREDITS-DE-RESIDENCE-AUX-AUTEURS.html
)
단편 혹은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지원금 또한 SACD라는 기관에서 마련하고 있다.
(
http://beaumarchais.asso.fr/
)
SAIF라는 기관에서는 작가의 집에 새로 오는 작가들에 한하여 1년에 5000유로의 지원금을 주고 있다. 이 지원금을 받으려면, 작가는 적어도 1권 이상의 책을 프랑스에서 출간을 한 상태여야 한다. 이 모든 지원책에서 국적은 상관이 없다.
(
http://www.citebd.org/spip.php?article1883
)
레지던스 작가들의 의무사항으로는 1월 말 앙굴렘 만화 페스티발 동안에 작가의 집 내의 전시공간에서 공동 전시를 해야 한다는 것, 작가의 집에서 진행한 작업이 출간이 될 경우 이를 작업물에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 있다.
1년에 3번 있는 이 작가의 집 지원기간의 마감일은 매해 2월 10일, 6월 10일, 10월 10일이다. 지원서류는 ▶자기 작업을 대표할 수 있는 요소들이 들어간 자기 소개서 ▶ 작업실 이용 희망 기간과 작업 동기서 ▶이곳에서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설명서(여기에는 만화의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완성 페이지가 적어도 3장 이상 첨부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의 경우 필름의 전반적인 성향이나 인물에 대해 알 수 있는 이미지, 시놉시스, 한 두 개 정도의 시퀀스가 첨부되어야 한다 ) 등이 있다. 지원 서류는 작가의 집에 메일로 제출하게 되어 있으며, 작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이 서류들을 심사하며, 이들이 지원 작가들을 이곳에 받아들일지 여부와 작업실 사용 기간을 정한다.
지원 서류 포멧과 이메일 주소는
http://www.citebd.org/spip.php?rubrique381
에 가면 찾을 수 있다.
이전글
웹만화시대 맞아 만화 인력수급체계 변한다.
2014-09-29
다음글
작업 환경의 진화와 2014 어도비
201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