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초기화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탈리아] 2009 볼로냐 아동도서전

그림의 평가와 본문 사이의 균형에 대하여 아주 특별한 관심을 보인 올해 볼로냐 전시회에선 볼로냐 라가찌 어워드 (Bologna Ragazzi Award: 볼로냐 소년상)에 몇 개의 훌륭한 책들이 뽑혔다.

2009-04-28 안젤라 달 곱보

                     이미지 문학(Immagini letterarie)
     2009 볼로냐 아동도서전 (Bologna children’s book fair 2009)

친구처럼 책도 마찬가지이다: 전혀 찾지 못할 수도 있지만 평생 마음 안에 남아있는 좋고 중요한 책들을 만나는 것은 가능하다. 찾기 힘든 시기에는 찾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인생전체를 두고 합쳐본다면 많을 것이다. 어쨌거나 모든 것은 하나의 계산된 전략으로 전부 연결되어 있다.
전시회에서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난다: 사람들은 최근 출판된 좋은 책들을 발견하기를 기대하곤 한다. 좋은 도서라고 기대하였으나, 실제로는 비범하지 않은, 혹은 이류의 출판물에, 현혹되기도 하고, 끝으로 아주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이미 예상되는 만족감으로 출판물 자체로서 넋을 잃게 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기밀로 하거나, 때로는 그림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만 우위가 결정되곤 했던 지난 몇해 동안은 간과되곤 하였으나, 그림의 평가와 본문 사이의 균형에 대하여 아주 특별한 관심을 보인 올해 볼로냐 전시회에선 볼로냐 라가찌 어워드 (Bologna Ragazzi Award: 볼로냐 소년상)에 몇 개의 훌륭한 책들이 뽑혔다.



로빈슨 크루소 이미지

로빈슨 크루소(Robinson Crusoe)

Fiction”(소설)부분의 우승자인 스페인출신 메디카 바카(Medica Vaca)가 편집한 로빈슨 크루소(Robinson Crusoe)는 확실한 보석이라고 생각한다. 더 이상 축약시킬 수 없는 이미지들만으로 글 없이 만들어진 소설책을 만들어내는 그 어려운 도전에 승리한 유명한 저자인 Defoe, Ajubel (아주벨 데포)가 일러스트레이트한 책이다. 이 책은 아주 훌륭하게 출판되었다. 옛날의 목판화를 연상하게 하는 스타일이지만 표식의 거슬림이 없으며, 생동감 있는 색상의 농담(濃淡), 외딴섬의 원시의 자연을 색상이 있는 면과 흰색 면을 교대하면서 살려낸다. 레오나르도 파두라 (Leonardo Padura) 는 후기에서 어린이만을 독자로서 의식하지 않는 소설의 복합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아주벨 (Ajubel)은 이러한 겹쳐진 느낌들의 이미지들을 번역할 수 있었는데, 왜냐하면 우리에게 문학만큼 오래된 주제인 꿈의 값어치나 외로움의 고독, 귀환의 갈망 같은 것을 기억하게 하는 읽을 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어젯밤 이미지

Last Night (어젯밤)

또 다른 일러스트는 파라 스트라우스 & 지루스 (Farrar Straus & Giroux)에서 펴낸 염해원 작가의 미국서적 Last Night (어젯밤)으로、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자는 한국 출신으로 Maurice Sendak의 “난폭한 괴물들의 나라 (=Nel paese dei mostri selvaggi)”를 재해석한 것처럼 보인다. 발단 (주인공인 여자아이가 저녁을 안 먹으려고 하자 침실로 보내지는 벌을 받는다)과 그에 이어지는 부분(신비스러운 장소에로의 여행)들이 비슷하지만, 꿈의 차원이 더 명백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여기에는 Sendak의 책에서처럼 방이 숲으로 바뀌지는 않으며, 천으로 만든 곰이 생명을 얻어서 밝은 달빛아래 여주인공과 함께 야생동물들이 살고 있는 숲 속으로 가서 그들과 춤추고 놀게 된다. 원천적으로 인쇄기술이 목판에 인쇄하는 기술과 비슷한 리롤륨(※주 : linoleografica 로 표기, 고무판(=장판 같은곳)에 인쇄하는 기법으로 마치 유화처럼 보이는 기법) 인쇄기술에 영향을 받았다. 색깔이 있고 확실히 특정 지워진 부분에서는 어떤 때에는 모순되게 어떤 때에는 명암의 강한 농도를 가중한다. 가끔 텍스트로 명확히 해야 하는 대목에서 텍스트가 없기 때문에 애매하게 이해되는 부분도 있지만, 부드럽고 잘 구성된 이야기를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곰과 들고양이 이미지

L’ours et le chat sauvage(불역: 곰과 들고양이)


곰들의 이야기의 반복해보자. 코마코 사카이 (Komako Sakai)의 색조가 부드러운 “L’ours et le chat sauvage(불역: 곰과 들고양이)”는 프랑스의 레콜 데 루아지르 (L’ecole des loisirs)에서 출간되었다. 몇 년 전 이 일본 여류작가의 책인 부드러운 색조의 “에밀리의 풍선(Emily’s Balloon)”이 우리를 감탄시켰었다.

오메가와 암곰 이미지

Omega et l’ourse (불역: 오메가와 암곰)

프랑스 파나마 (Panama) 출판사에서 나온 베아트리스 알레마그나 (Beatrice Alemagna)의 작품 “Omega et l’ourse (불역: 오메가와 암곰)”에서의 여자아이와 암곰의 불안한 만남에서 암곰이 여자아이를 결국엔 잡아먹을까? 꼬마 계집애가 그렇게 하도록 할까? 이야기는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 이러한 책은, 다른 곳 보다는 프랑스시장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평화적이지 않고 밝지 않은 내용의 연재물들의 부류에 속한다. 대앵글로색슨 학파는 열린 이야기들을 선호하지 않는다. 반대로 실험정신을 사랑하는 프랑스인들은 현재의 문제점과, 어려운 상황, 그러나 감동이 있는 도서를 도서시장에 내놓곤 한다.

매주 금요일 이미지

Every Friday(매주 금요일)

뉴욕의 Henry Holt and Company 에서 출판한 단 야카리노(Dan Yaccarino)의 Every Friday(매주 금요일)에게 “Fiction (소설)”부문 상을 주었다는 것은 매우 기쁜 일이다. 간단한 설명과 깨끗한 이미지들(60년대의 발간된 인쇄술을 기억나게 하는)은 아이들의 관점에서 보게 하면서 아이들의 세상을 생각하게 하여주는 이야기를 제안한다.



스페인어역: 이야기를 말해 주는 사람

El contador de cuentos (스페인어역: 이야기를 말해 주는 사람)

다른 매우 흥미로운 상은 뉴 호리즌 (New horizons) 부분에서, 사끼(Saki)의 유명한 이야기를 잘표현하는 알바 마리나 리버라 (Alba Marina Rivera)가 일러스트작업을 하고, 아르헨티아 엘카레 (Ekare) 출판한 El contador de cuentos (스페인어역: 이야기를 말해 주는 사람)가 받게 되었다. 이경우에 있어서 일러스트레이터는 “책의 혼”을 파악하여 이미지로 번역하였다 - 이것은 그의 논문을 출간한 것이라고 할지라도, 그림을 갖고서 서술하는 성숙한 능력을 보여주는 진정한 작업을 작가는 달성하였다.

오프라 프리마 (Opera Prima)”부분에선, 이 경우에도 역시 서술부분에 우수성으로 선정되었다. 수상작은 영국의 더 템프라 퍼블리싱 (The Templar Publishing) 출판사에서 발간된 케빈 왈드론 (Kevin Waldron) 의 Mr Peek and the misunderstanding at the zoo (피크씨와 동물원에서의 오해)라는 책이다; 그래픽에 대한 연구는 60년대를 생각나게 하고, 반어법과 경쾌함, 그리고 서술하는 방식은 작품을 특별하게 만들었다.

세상의 이미지

Le livre des terres imagines(불역: 세상의 이미지)


“Non Fiction(비소설)”부분에서는, 여러 시대와 여러 민족들 안에서, 발생된 근원에서부터 우리가 사는 시기까지, 지구의 형태에 대한 조사 목록인 프랑스의 기욤 뒤프래 (Guillaume Duprat) 가 쓴 쇠이유 (Seuil) 출판사의 “Le livre des terres imagines(불역: 세상의 이미지)” 를 주목할 만 하다. 여기에 첨부된 부록은 소책자와는 관련이 없고, 그대신 과학적이고 일반적인 예증에 활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람이나 민족들이 세상 내부나 그 안 깊숙한 곳의 공간을 지각하던 방법을 보여주곤 하는 것이다. 이 책은 성실하고 엄격한 동시에 눈부신 편집과 아름다운 화보들을 제공한다.

작년에 나를 감동시킨 것은, 사진과 삽화들과 과학적 본문 그리고 시까지 완벽하게 동질하게 갖춰진 지구의 상태와 아름다움에 대한 탁월한 기록(=다큐먼터리) 책자인 프랑스 Rue du monde 에서 출간한 Je serai les yeux de la terre(불역: 나는 지구의 눈이 되리라)이다. 올해에도 같은 출판사에서, 가치가 없는 것도 없고 대치되는 것도 없는, 사진들과 화보들을 활용한 다른 책자를 내놓았다.: Elen Riot과 Zau 가 저술한 “100 chiffres pour rever le monde autrement(불역:세상을 다르게 꿈꾸는 100개의 방법)”이고 지난번 것과 대등할 정도로 빼어난 수작이다.

호기심 있는 꼬마들에게 알려준 꿈들

Les reves racontes aux petits curieux(불역: 호기심 있는 꼬마들에게 알려준 꿈들)

“Non Fiction(비소설)”부분에서 실비아 바우씨에르 (Sylvie Baussier)가 스토리를 쓰고 일리야 그린 (Ilya Green) 이 삽화하여, 꿈, 연속성, 일반적 과학의 의미를 표현하여 화려하면서 뛰어난 작품인, “Les reves racontes aux petits curieux(불역: 호기심 있는 꼬마들에게 알려준 꿈들)”에 상이 수여되었다. 일리야 그린 (Ilya Green) 의 전통적이고 잘 알려진 스타일을 소개하기 위하여 최근 출판된 “Bou et le 3 zours” (글: Elsa Valentin, 편집 Latelier du poisson soluble)를 이번 화제작들과 함께 배치하였다.












볼로냐에서 전시를 가진 한국작가들의 작품들

볼로냐에서 전시를 가진 한국작가들의 작품들


한국은 이번 볼로냐 전시회의 주빈국으로 이번 전시에서 한국 일러스트레이터들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래픽 연구에서의 크나큰 활력, 자연세계에 대한 관심, 서술의 섬세함, 회복(=보충=英 recover)과 전승의 재해석은, 한국저자들의 작업 안에서, 훨씬 눈에 띄는 요인들을 발견하게 한다. 김재홍(=Jae-hong Kim)(영이의 비닐우산, 창비사 2005)의 극사실주의, 정순희(=Soon-hee Jeong)(새는새는 나무자고, 창비사, 2006)의 섬세함, 고경숙(=Gyong-sook Goh)(마법에 걸린 병, 2006, 그리고 위대한 뭉치, 2006, 재미마주)의 상상력과 반어법, 이수지(=Su-zy Lee)(동물원, 비룡소, 2004)의 숙련된 서술들은 한국작품들을 세계 최고의 작품들 속에 진열 할 수 있게 한다.

전시회가 제시하는 모든 것을 검토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중요한 것은, 지켜보고 읽어보고 본 것들 중, 우리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우리에게 작은 보석처럼 남게 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이미 얻은 위대한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09년 4월 15일)



※ 필자가 보내온 원문도 개재 합니다.(편집부)
Immagini letterarie
Bologna children’s book fair 2009
di Angela Dal Gobbo


Succede per i libri come per gli amici: e possibile incontrarne di buoni e importanti, che ci resteranno nel cuore per tutta la vita, come di non trovarne affatto. Di trovarne pochi, in lunghi periodi di carestia, oppure molti, tutti insieme. Tutto cio, comunque, e piu legato al caso che a una calcolata strategia.
Cosi avviene nelle fiere: ci si aspetta di trovare le migliori pubblicazioni recenti, e poi invece si incappa in prodotti editoriali di buona qualita ma non straordinari, o in libri mediocri, o infine, in casi rari ma forieri di grande soddisfazione, in pubblicazioni che ci incantano per la loro bellezza.
Alla fiera di Bologna di quest’anno alcuni eccellenti libri sono stati selezionati dal premio Bologna Ragazzi Award, che ha dimostrato una particolare attenzione per l’equilibrio tra indagine figurativa e testo, trascurata negli anni passati quando privilegiava per lo piu la ricerca di sperimentazioni figurative, a volte perfino ermetiche.
Considero un autentico gioiello il vincitore della sezione “fiction”, Robinson Crusoe, edito dalla spagnola Media Vaca. Illustrando il notissimo testo di Defoe, Ajubel, l’autore, vince una difficile sfida: realizzare un libro senza parole a partire da un romanzo che sembrerebbe irriducibile a sole immagini. Vi riesce superbamente. Lo stile ricorda le antiche xilografie, ma senza l’asperita del segno e con un chiaroscuro che si accompagna a colori vivacissimi, con un alternarsi nella pagina di zone colorate e di altre bianche che evocano la natura selvaggia di un’isola lontana. Leonardo Padura, nella postfazione, bene ricorda la complessita del romanzo, non destinato a un pubblico infantile; Ajubel riesce a tradurre in immagini tali stratificati sensi perche offre una lettura essenziale, che ci ricorda come il prezzo dei sogni, l’isolamento della solitudine, il desiderio del ritorno siano temi tanto antichi quanto la stessa letteratura.
Altro libro senza parole e lo statunitense Last night, di Hyewon Yum, edito da Farrar Straus Giroux, che ha meritato la menzione d’onore.
L’autrice, di origine coreana, sembra reinterpretare il famoso Nel paese dei mostri selvaggi di Maurice Sendak: l’inizio (la protagonista, una bambina, rifiuta la cena e viene mandata a letto per punizione) e il seguito (il viaggio in un luogo misterioso) sono simili, ma e piu evidente la dimensione del sogno. Pero qui non e la stanza a trasformarsi in foresta, come era nel libro di Sendak, ma e l’orso di peluche a prendere vita e a portarla con se sotto il chiaro di luna, nella foresta abitata da animali selvaggi con i quali lei danza e gioca.
Originale e la tecnica grafica che si ispira alla linoleografia, simile alle incisioni su legno. Le zone colorate, nette e definite, si sovrappongono, a volte sfasate, a volte con forti contrasti chiaroscurali. L’insieme racconta una storia tenera e ben strutturata, sebbene la mancanza delle parole faccia percepire a volte tutta l’ambiguita delle figure quando non c’e un testo verbale a precisarle.
Ricorrenti le storie di orsi. Un delicato L’ours et le chat sauvage di Komako Sakai viene pubblicato dalla francese L’ecole des loisirs. Dell’autrice giapponese abbiamo ammirato il delicato Emily’s Balloon di qualche anno fa.
Inquietante l’incontro tra una bambina e un’orsa in Omega et l’ourse di Beatrice Alemagna per la francese Panama - l’orsa mangera la bambina, alla fine? E la piccola intende lasciarla fare? Il racconto non ha conclusione. Fa parte di quella serie di libri dal contenuto non pacificatorio, non sereno, che si trova piu facilmente sul mercato francese che altrove. La grande scuola anglosassone non ama racconti aperti; i francesi, che amano invece sperimentare, propongono nei cataloghi anche libri problematici, che espongono situazioni toccanti e difficili, a volte scabrose. Come e questa.

Fa piacere che la giuria abbia assegnato una menzione nella sezione “fiction” anche a Every Friday di Dan Yaccarino, edito dalla casa editrice Henry Holt and Company di New York, nel quale la semplicita della narrazione e la pulizia delle immagini (che ricordano la grafica pubblicitaria degli anni ‘60) propongono una storia che incontrera il favore del pubblico infantile perche ne rispecchia il punto di vista.

Altro premio molto interessante e stato assegnato, nella sezione “New horizons”, a El contador de cuentos, della casa editrice argentina Ekare, in virtu delle illustrazioni che Alba Marina Rivera ha saputo realizzare per il celebre racconto di Saki. In questo caso l’illustratrice riesce a cogliere lo “spirito del libro” e a tradurlo in immagini - ne sortisce una vera opera, che dimostra una capacita gia matura di narrare con le figure, sebbene sia la pubblicazione del suo lavoro di tesi.

Nella sezione “Opera prima” viene premiato un libro che, anche in questo caso, privilegia la narrazione: Mr Peek and the misunderstanding at the zoo di Kevin Waldron per la casa editrice inglese The Templar Publishing; la ricerca grafica ricorda ancora gli anni ’60, e l’ironia, la leggerezza, il senso narrativo ne fanno un prodotto particolarmente riuscito.

Per la “non fiction” e degno di nota il francese Le livre des terres imaginees, di Guillaume Duprat, editrice Seuil, catalogo delle interpretazioni delle forme della terra che, dalle origini ai giorni nostri, si sono succedute in tempi diversi e in diverse civilta. Le alette di cui e dotato non lo apparentano ai libri per piccolissimi, ma sono funzionali alla esemplificazione scientifica e divulgativa: esprimono il modo in cui le persone o le popolazioni concepivano l’interno della terra oppure lo spazio immaginato al di sotto. Serio e rigoroso, offre al contempo splendida impaginazione e belle illustrazioni.

Mi aveva colpito l’anno scorso Je serai les yeux de la terre, edito dalla francese Rue du monde, eccellente libro documentaristico sullo stato e sulla bellezza della terra, insieme perfettamente omogeneo di fotografie, disegni, testo scientifico e poesia. Quest’anno la stessa casa editrice propone un altro esempio di testo che coniuga fotografia e illustrazione, senza scarti ne contrasti: 100 chiffres pour rever le monde autrement, di Elen Riot e Zau, bello quasi alla pari del precedente.

Nella sezione “non fiction” e stata assegnata una menzione a Les reves racontes aux petits curieux, testo di Sylvie Baussier e illustrazioni di Ilya Green, brillante ed elegante libro di divulgazione scientifica sul senso, sulla frequenza, sul manifestarsi dei sogni. Lo stile originale e riconoscibile di Ilya Green permette di collocarla tra le piu interessanti illustratrici del momento - da segnalare il suo recente Bou et le 3 zours edito da L’atelier du poisson soluble, testo di Elsa Valentin.

Di particolare interesse si e rivelata la mostra dedicata agli illustratori coreani - la Corea era quest’anno ospite d’onore alla fiera di Bologna.
Grande vivacita nella ricerca grafica, attenzione al mondo naturale, sensibilita nel narrare, recupero e rilettura della tradizione mi sono apparsi gli ingredienti piu rilevanti nel lavoro degli autori coreani. L’iperrealismo di Jae-hong Kim (Yeong’s vinyl umbrella, Changbi 2005), la delicatezza di Soon-hee Jeong (Chirping birdies sleep on trees, Changbi 2006), l’inventiva e l’ironia di Gyong-sook Goh (Magic bottles, 2005, e The great kid, Moongchi, 2006, Jaimimage), l’abilita narrativa di Su-zy Lee (The zoo, Bir 2004) permettono di collocare la produzione coreana tra le migliori del mondo.

Difficilmente si riesce a esaminare tutto cio che la fiera propone. La cosa essenziale e che, tra quel che si e osservato, letto, preso in visione, qualcosa abbia acceso la nostra curiosita e si sia depositato in noi come un piccolo prezioso tesoro. Sarebbe gia un grande risultato. (15 aprile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