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내에서 지난 30년간 이룬 놀라운 경제 성장에 관해 특히나 많이 이야기되는 한국에 와볼 기회를 갖지 못했던 저는 올해 제19회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에 참여할 기회를 가지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번 여행은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발견’과 ‘아름답고 활기찬 나라 한국의 발견’이라는 2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부천국제만화축제 행사와 그에 따른 수많은 만남과 발견의 기회를 가진 것은 대단히 흥미로웠으며,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따뜻한 손님맞이, 다채로운 문화, 훌륭한 음식, 뛰어난 유산 등을 지닌 한국 문화에 대한 경험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저는 또한 서울과 그 주변의 도시 개발, 건설 현장, 도시 중심의 매우 활기찬 상업 지구 등을 통해 육안으로 쉽게 한국 경제의 강한 활력을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박물관과 서점 방문 및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만화의 역사에 대한 상설 전시 관람, 그리고 부천국제만화축제 참가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한국에서 만화가 가지는 특별한 위치와 만화가 한국 문화 내에 얼마나 깊이 새겨져 있으며 근대 문화에 분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여행에서 만화의 큰 영향력과 여러 독자층 및 교육 기관, 중요 문화 기관 및 미디어가 갖고 있는 만화에 대한 인식은 아주 인상적인 부분이었습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이러한 만화의 역사와 만화가 가진 영향력을 방문객들에게 설득력 있고 풍부하게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부천국제만화축제는 2030 만화의 미래에 대한 토론 주제를 제안하고 여러 작가들이 제9의 예술(만화)의 미래에 대하여 자신들의 창의적 상상력을 이용한 생각을 발언할 수 있도록 하여 우리에게 만화의 발전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풍부하게 해 주었습니다. 토론 주제는 여러 관점에서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토론은 방문객들이 미래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고, 이는 작가들의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제안을 통해 촉진되었습니다. 또한 이는 만화의 미래에 대한 자신의 고유한 전망과 만화계를 관통하는 트렌드, 작품과 미적, 예술적, 경제적 측면에서의 진화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도록 방문객들을 유도하였습니다.

미래에 대한 고찰은 아주 어려운 것 중 하나이므로, 항상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왜냐하면 사물을 다르게 느끼고 상상하는 그들의 능력은 새로운 인식과 그들의 특별한 도움 없이는 우리가 가질 수 없을 반응과 견해를 갖게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또한 웹툰에 관한 전시도 매우 마음에 들었는데, 웹툰은 프랑스에서 아직까지 그리 발전되지 않은 장르입니다. 태블릿과 스마트폰을 위한 만화는 아주 다른 형식을 제안하며, 작가들이 종이 인쇄 방식과는 다른 서술적이고 시각적인 특수성을 갖는 매체를 통해 다른 만화들보다 더 짧은 스타일의 만화를 창작할 수 있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독자들은 지하철이나 잠시 거쳐 가는 공간에서 태블릿을 이용하므로 웹툰은 짧은 시간 안에 그들의 관심을 끌어내야 합니다. 이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 볼 만한 아주 흥미로운 디자인적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제가 잘 알지 못했던 이러한 새로운 형식의 만화의 발견으로 떠오른 아이디어는 앙굴렘에 있는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에서 웹툰에 관한 전시를 개최해 이와 같은 새로운 매체와 새로운 만화를 포함하는 모든 미적 예술 및 제9의 예술의 더 넓은 전파와 대중화를 위한 가능성을 알리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함께 논의한 프로젝트로, 이는 부천국제만화축제에서 우리가 체결한 3년 협약에 포함된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의 협력의 구체적인 내용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코스튬플레이, 작가와의 만남, 작가와 전시에 열광하는 젊은 층의 존재 등을 바탕으로 한 축제의 즐겁고 생기 있는 분위기는 부천국제만화축제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던 부분입니다. 코스튬플레이는 부천국제만화축제의 고유한 구성 요소로서 다른 아시아 국가와 미국에서도 다른 형식으로 찾아 볼 수 있지만 프랑스에서는 아직까지 많이 발전하지 않은 분야입니다. 코스튬플레이로 축제의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유희적이고 화려하며 유쾌한 모습을 띠었습니다. 저는 제 기억에 깊게 새겨진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매우 신나고 재미난 주제도 굉장히 마음에 들었던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매우 신났던 기억이 깊게 새겨져 있으며, 지금도 종종 떠올리곤 합니다.
사인회와 함께 진행된 작가와의 만남 또한 여러 차례 이루어져, 주의 깊고 열정적인 젊은 관객들이 많이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축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큰 즐거움을 가지고 작가들과 함께 새로운 예술 방식을 발견하고 나누며 꿈과 상상, 감동이 가득한 세계로 빠져들게 하는 축제의 활기 있고 즐거운 분위기였습니다.

또한, 전문가 교류 프로그램에 참석한 아시아와 유럽 각국의 전문가들과 만화의 전문가로서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합니다. 여러 고유한 만남들을 통해 우리는 서로를 더욱 잘 알게 되었고 학술적인 것뿐만 아니라 작가의 교환 거주 또는 전시회의 공동 제작 등과 같은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국제 교류는 제가 운영하는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와 같은 기관에는 매우 중요한데, 이를 통해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가 전 세계의 전통과 창작 형태를 알리고, 방문객들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확장하며, 전시회, 작가 교환 거주 또는 새로운 행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저는 서로의 생각을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축제에 참가한 여러 전문가들 간의 협력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기회를 제공한 부천국제만화축제와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 매우 감사하는 바입니다. 이러한 교류는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며, 여러 국가 간의 친선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위한 문을 열어줄 것이기에 흥미롭습니다. 이는 새로운 관계 또한 견고하게 할 것입니다. 나는 진정한 풍요로움과 혁신의 원천인 국제 협력의 열렬한 수호자입니다. 이에 따라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3년의 상호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우리는 전시회 또는 작가의 거주 등과 같은 공동 작업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천국제만화축제는 한국과 전 세계에서의 제9의 예술인 만화의 창작의 활력을 보여주는 아주 독창적인 축제입니다. 부천국제만화축제는 장래성과 창의성이 가득한 예술 장르의 미래를 보여줍니다. 이제 제가 원하는 것은 단 한 가지, 다음 부천국제만화축제에 다시 참여하는 것입니다!
아래부터는 본 원고의 원문입니다. [편집자 주]
J’ai eu le tres grand plaisir de decouvrir le Bicof cette annee. Je n’avais jamais eu la chance de me rendre en Coree, pays dont on parle beaucoup en France, notamment pour son formidable developpement economique de ces trente dernieres annees.
Ce voyage a donc revetu un double aspect : la decouverte du Bicof et de ce beau et stimulant pays qu’est la Coree. J’ai ete absolument passionne par la manifestation et ses multiples occasions de rencontres et de decouvertes, et tres impressionne par ce que j’ai pu percevoir de la culture coreenne : son sens de l’hospitalite, sa tres riche culture, sa merveilleuse gastronomie, son patrimoine remarquable. J’ai pu egalement me rendre compte de la tres forte dynamique economique en Coree, tres perceptible a l’oeil nu, avec le developpement urbain de Seoul et de sa peripherie, les chantiers pour des constructions nouvelles, les quartiers commercants tres vivants du centre de la capitale.
En visitant des musees, des librairies, en decouvrant l’exposition permanente du Komacon sur l’histoire du manhwa et en rencontrant les festivaliers au Bicof, j’ai pris conscience de la place tres particuliere de la bande dessinee en Coree, et a quel point elle s’inscrit profondement dans l’histoire culturelle nationale et innerve la culture contemporaine. C’est un element tres frappant de ce voyage que de constater cette forte presence de la bande dessinee, sa reconnaissance par diverses categories de la population, par des instances academiques, par des institutions culturelles de premiere importance et egalement par les medias. Le Komacon retrace cette histoire et cette presence du manhwa de maniere tres convaincante et avec beaucoup de richesse pour le visiteur.
Le Bicof proposait une thematique prospective sur la BD en 2030 donnant la parole a plusieurs auteurs, liberant leur imagination creatrice pour penser le futur du 9eme art, enrichissant notre perception de ses evolutions et de ses potentialites. Cette thematique etait tres interessante a plusieurs egards : elle mettait le visiteur en situation de reflexion prospective, stimule par les propositions tres variees des auteurs, tres imaginatives, et elle le conduisait a s’interroger sur sa propre vision de l’avenir de la bande dessinee, sur les principales tendances qui traversent la discipline, sur les evolutions a l’oeuvre, aussi bien celles qui sont de nature esthetiques et artistiques, et celles qui relevent de l’economie. Penser l’avenir est l’une des choses les plus difficile, et faire appel a des auteurs et a des artistes est toujours une source fructueuse car leur capacite a penser et a sentir differemment les choses fait naitre des prises de conscience, suscite des reactions et des reflexions que nous n’aurions pas eu sans leur contribution singuliere.
J’ai egalement beaucoup apprecie l’exposition consacree aux webtoons, qui est un genre de BD encore peu developpe en France. Cette forme de bande dessine sur tablette et sur smartphone propose des styles tres differents et permet a des auteurs de creer des types de bande dessinees plus courtes que les autres, ou le support induit des specificites narrative et visuels qui sont differents des publications sur papier. Il faut surprendre le lecteur, qui en general a peu de temps pour lire car il utilise sa tablette dans le metro, ou dans des endroits transitoires, et cela genere des effets esthetiques tres interessants, qu’il convient d’examiner avec beaucoup d’attention.
La decouverte de cette forme de BD que je connaissais mal m’a donne l’idee d’y consacrer une exposition a la Cite internationale de la BD et de l’image d’Angouleme, afin de mieux faire connaitre ces nouveaux supports et toutes les potentialites qu’ils recelent, aussi bien au plan esthetique que pour une plus grande diffusion et popularisation du 9e art. C’est un projet que nous avons discute avec le Komacon. Il s’agirait de l’une des pistes concrete de cooperation avec le Komacon, qui s’inscrirait dans le cadre de la convention triennale de cooperation que nous avons signe a l’occasion du Bicof.
Ce qui m’a frappe au Bicof, c’est le caractere festif et tres vivant du festival, grace aux cosplays, aux rencontres avec les auteurs, a la presence d’une jeunesse passionnee et avide de decouvrir les auteurs et les expositions. Les Cosplay, c’est une dimension tres particuliere au Bicof, qu’on retrouve de maniere differente dans d’autres pays d’Asie, et egalement aux Etats-Unis, mais qui est peu developpee en France. Cela donne un aspect ludique, tres colore et tres amusant a l’ambiance general du festival. J’ai beaucoup aime la chanson du Bicof, tres entrainante et tres gaie, qui est reste gravee dans ma memoire et que j’ecoute regulierement depuis.
Les rencontres avec les auteurs etaient egalement tres nombreuses et tres frequentees, avec un public jeune, attentif et passionne, avec des seances de dedicaces tres suivies. Ce que je retiens le plus de ce festival, c’est ses ambiances tres vivantes, tres joyeuses, qui permettent de partager, de decouvrir avec beaucoup de plaisir des auteurs, des demarches artistiques nouvelles et de se plonger dans un univers ou l’imagination, le reve et les emotions sont tres impressionnants.
Par ailleurs, comme professionnel de la bande dessinee, j’ai eprouve de tres grandes satisfactions a dialoguer avec mes homologues asiatiques ou europeens qui etaient presents lors des sessions d’echanges professionnels. Plusieurs rencontres specifiques nous ont permis de mieux nous connaitre, de reflechir a des pistes de cooperation, aussi bien sur le plan strictement scientifique que pour des residences croisees d’auteurs ou des projets de coproductions d’expositions. Ces enjeux d’echanges internationaux sont tres importants pour un etablissement comme celui que je dirige, la Cite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ee et de l’image. Ces echanges lui permettent de mieux faire connaitre des traditions et des aspects de la creation du monde entier, de developper un enrichissement culturel pour les publics qui le frequentent, et de stimuler des idees nouvelles, aussi bien pour les expositions que pour les projets de residences croisees d’auteurs, d’idees de manifestations nouvelles. Je suis tres reconnaissant au Bicof et au Komacon d’avoir permis de creer les conditions de ces reflexions croisees, d’avoir su developper un esprit de cooperation et de dialogues entre plusieurs professionnels presents lors du festival. Ce qui est interessant c’est que ces echanges se poursuivront a l’avenir, qu’ils sont des portes ouvertes pour de nouvelles approches et de nouveaux partenariats entre differents pays. Ils permettent de souder des relations nouvelles. Je suis un fervent defenseur de la cooperation internationale, elle est une veritable source d’enrichissement et d’innovation.
Comme j’y ai fait allusion plus haut, ous avons signe un partenariat de trois ans entre le Komacon et la Cibdi qui nous permettra de developper des operations communes telles que des expositions ou des residences d’auteurs.
Le Bicof est un festival tres original qui demontre la vitalite de la creation du 9eme art en Coree et dans le monde. Il symbolise d’un certaine facon l’avenir d’un genre artistique qui est plein de promesses et de capacites d’invention. Je n’ai qu’une envie : y revenir pour la prochaine edition !
Pierre LUNGHERET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