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의 오랜 파트너인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CIBDI)는 2016년 제19회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의 초청을 받았다. 이에 따라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 관장인 피에르 룬게레티(Pierre Lungheretti)와 도서관 관장인 나는 부천국제만화축제를 관람하고 관련 단체를 방문하고자 부천을 찾았다.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도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마찬가지로 박물관과 도서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자는 큰 관심을 가지고 진흥원 직원분들이 소개한 전시를 포함, 박물관의 여러 공간을 주의 깊게 관찰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내에는 한국의 만화 역사를 연대순으로 보여주는 상설 전시, 2015년 부천국제만화축제 그랑프리 수상자인 한국 작가 윤태호에 관한 특별전시 및 루이 트롱댕(Lewis Trondheim), 마린 블랑댕(Marine Blandin), 나탈리 페를뤼(Nathalie Ferlut), 미스 파티(Miss Paty) 등을 포함하는 프랑스 작가와 한국 작가의 작품으로 구성된 주제전시(2030 만화의 미래)가 열리고 있었다.
부속 전시관에서는 피너츠(Peanuts) 및 체코 작가에 대한 아주 친근하고 쉬운 전시가 열리고 있었으며, 아동용 만화를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여러 가지 전시 장치 중에서 특히 유희적 형태의 전시법이 시선을 끌었는데, 이는 수많은 아이들이 전시 공간 내에서 마치 집에 있는 듯 편안하게 관람하는 모습으로 증명되었다. 상설 전시장 내부는 교육적인 전시법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안내판은 간결하고 쉽게 설명되어 있었지만, 모든 안내판이 외국인 관람객을 위해 영어로 번역되어 있지 않은 점은 아쉬웠다. 우리는 입체적 공간과(이를테면 만화가의 머릿속), 웹툰 스크린과 같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전시 장치 등에서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
△ 방문객이 만화 주인공과 함께 합성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코너
5,438개의 종, 234,185권의 원본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한국만화박물관의 소장 컬렉션은 그 수량뿐만 아니라 보관 및 활용 절차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각 작품은 디지털화되어(컬렉션의 60%)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장서 목록으로 저장되어 있고, 박물관 내에서만 열람할 수 있다.
△ 상설전시관 내의 1960년대 한국 만화방 재현
출판물 컬렉션은 프랑스 동료들의 질투심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그 수가 많았지만, 한국 작품이 그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 작품 중 일부는 디지털화되어 있었지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러한 보물 같은 컬렉션의 온라인 열람은 불가능했다.
축제기간 동안 열람실에서는 수천 권에 이르는 작품의 열람이 가능했고, 방문객의 수가 많아 열람자들은 앉을 수 있는 모든 공간에 앉아 있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우리는 한국 독자들이 요즘 웹툰에 끌리고 있지만, 인쇄된 형태의 출판만화 또한 꾸준히 좋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 만화박물관 내 아동열람실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박물관 내 일반열람실
올해 부천국제만화축제가 제안한 행사 중 하나로, 브뤼셀(벨기에 만화 박물관), 이탈리아 루카(Comics & Games 페스티벌), 일본 교토(국제 망가 박물관), 중국 광저우(애니메이션 협회), 일본 기타큐슈(망가 박물관), 말레이시아(Comic fiesta),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및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가 참가하는 만화 도시 네트워크 콘퍼런스가 열렸다.
본 콘퍼런스는 참가 기관 간의 파트너쉽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으며, 피에르 룬게레티는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의 국제적 목적을 가진 프로젝트를 간략하게 설명한 후 국제 만화ㆍ카툰ㆍ캐리커처 네트워크(eICON: International Comics, Cartoon and Caricature Network)의 존재와 2017년 1월에 개최될 예정인 만화 보존 박물관 및 도서관 심포지엄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 피에르 룬게레티 관장의 글로벌 만화 도시 네트워크(Global Comics City Network) 참여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또 다른 주요 일정은 만화의 미래를 주제로 한 컨퍼런스였다. 컨퍼런스는 스콧 맥클라우드(Scott Mccloud)의 발언으로 시작되었고 나는 작가, 출판사 및 독자의 시점에서 바라본 현재 상태를 보고하고 각 시점에 따른 프랑스 만화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발언했다. 이어지는 발언자는 교토 망가 박물관의 요시무라 가쓰마(Yoshimura Katsuma)였고 그도 동일한 주제에 대하여 발언하였으며,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한상정 교수의 ‘2030 만화의 미래’ 전시에 관한 보고로 컨퍼런스는 마감되었다. 한상정 교수가 진행한 질의·응답 시간에는 방청객의 질문이 발언자에게 전달되어 심층적인 토론이 가능했다.
우리는 이번 여행에서 파트너 기관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고, 주한 프랑스 대사관과 프랑스 문화원의 후원에 힘입어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및 한국과의 교류를 강화할 수 있었다. 이번 방문을 통해 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대표: 피에르 룬게레티)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대표: 이희재 이사장)과 상호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두 기관 간 만화 자료 교환의 구체화, 컬렉션의 보존 및 활용 분야에서의 전문가 교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불 상호 교류의 해에 우리는 프랑스의 외교적 후원에 힘입어 작가의 거주, 자료 교환, 동시 출판, 프랑스에서의 웹툰 전시 프로젝트 등과 같은 여러 활동에 대해 합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앞으로도 더욱 심화 및 구체화하여야 할 것이다.
△ 한국만화영상진흥원-프랑스국제만화이미지시티 MOU 체결식(피에르 룬게레티 관장과 이희재 이사장)
가족과 전문가, 성인과 어린이, 코스튬플레이어와 넥타이 차림의 관객을 아우르는 부천국제만화축제는 축제이자 전문적인 만남의 장이었다. 이번 부천국제만화축제는 작가에 관한 전시, 참신하고 현대적인 주제와 장치를 통한 만화의 대중화, 만화에 대한 훨씬 더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을 모두 갖추는 데 성공했다. 유쾌하면서도 진지했던 부천국제만화축제의 전체적 분위기는 매우 특별했다. 2012년 첫 번째 방문에 이은 올해의 두 번째 방문으로 나는 다시 한 번 부천국제만화축제 관객들의 열정과 믿기 힘든 축제 열기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 지난 방문과 더불어 우리는 다시 한 번 축제의 분주함에도 불구하고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환대를 받았으며, 미래에는 양 기관 간 공적 및 사적 관계에서 훨씬 더 유익한 결실이 맺어지리라 믿는다.
아래부터는 본 원고의 원문입니다. [편집자 주]
Partenaire de longue date du Komacon, la Cite etait invitee de l’edition 2016 du Bicof. C’est ainsi que Pierre Lungheretti, directeur de la Cite et moi-meme, directrice de la bibliotheque firent le deplacement jusqu’a Bucheon pour decouvrir cet evenement festif et l’organisation qui l’accompagne.
La Cite etant elle - meme composee d’un musee et d’une bibliotheque, c’est avec un interet pousse que j’observais les expositions mises en place et suivais les visites des differents espaces que nos collegues coreens nous proposerent.
Au sein meme du Komacon etaient presentees l’exposition permanente retracant de maniere chronologique l’histoire de la bande dessinee coreenne, une exposition temporaire monographique sur Yoon Tae-ho, artiste coreen laureat du grand prix 2015 du Bicof, ainsi qu’une exposition sur la thematique du futur de la bande dessinee, constituee de travaux d’auteurs coreens et francais parmi lesquels Lewis Trondheim, Marine Blandin, Nathalie Ferlut ou Miss Paty.
Dans des chapiteaux annexes, etaient disposees des expositions tres simples de vulgarisation sur les Peanuts, un auteur tcheque et un espace dedie a la bande dessinee jeunesse.
Des differents dispositifs d’exposition proposes, je retiendrai avant tout l’aspect ludique des presentations, j’en veux pour preuve le nombre d’enfants deambulant comme chez eux dans ces espaces. Au sein du parcours d’exposition permanente, la presentation didactique domine, les panneaux explicatifs sont courts et clairs mais on peut regretter que tous ne soient pas traduits en anglais pour les visiteurs etrangers. Nous aurions beaucoup a gagner a nous inspirer des espaces en volumes et dispositifs interactifs mis en place tels que le cerveau du dessinateur ou les ecrans de webtoons.
Les collections patrimoniales du musee sont egalement impressionnantes de par leur volume 5,438 titres soit 234 185 œuvres originaleset les procedures de conservation et de valorisation qui leur sont affectees. Chaque œuvre est numerisee (60% de la collection) et cataloguee systematiquement au sein d’une base de donnees qui helas n’est consultable que dans les emprises de la bibliotheque.
La collection d’imprimes pourrait faire palir d’envie les collegues francais mais elle est essentiellement composee d’ouvrages coreens. Une partie est numerisee mais les droits d’auteurs empechent la consultation sur le web de ces tresors.
Une salle de lecture met a disposition en lecture sur place des milliers d’albums et en cette periode de festival, la frequentation est telle que les lecteurs sont assis sur toutes les surfaces disponibles. On percoit a l’egard de cette forme d’expression un engouement du public coreen qui s’il est desormais plus attire par les webtoons, reste egalement ponctuellement fidele au manhwa en format papier.
Un des rendez-vous proposes par le Bicof cette annee etait une conference du reseau des villes de la bande dessinee. Etaient representees, Bruxelles pour le CBBD, Lucca (Italie) pour le festival Comics &Games, Kyoto (Japon) pour l’International Manga Museum, Canton (Chine) pour l’association d’Animation, Kitakyushu (Japon) pour le Manga Museum, la Malaisie pour le Comic fiesta, le Komacon et la Cite. Le but de cette conference etait de discuter de partenariats entre ces etablissements. Apres une courte presentation du projet d’etablissement de la Cite dans ses ifs internationaux, Pierre Lungheretti a rappele l’existence du reseau eICON et annonce le projet de symposium des musees et bibliotheques de conservation de la bande dessinee qui devrait se tenir en janvier 2017.
Un autre temps fort lie au Bicof etait la conference sur le theme de l’avenir de la bande dessinee. Inauguree par une intervention de Scott Mccloud, j’ai poursuivi avec une intervention sur l’avenir de la bande dessinee en France, tracant un etat des lieux factuel de la situation actuelle du point de vue des auteurs, editeurs et lecteurs avant d’envisager son avenir de ces trois points de vue. La conference s’est poursuivie avec une intervention de YoshimuraKatsuma du Kyoto manga Museum sur le meme theme, et s’est conclue par un expose de Han Sang-Jung professeur du departement de la Culture de l’Universite Sangji (Coree) sur le sujet de la ≪ Scene de la bande dessinee en 2030 ≫ en Coree. Une seance de questions moderee par Sang-Jung Han a permis ensuite de transmettre les questions des spectateurs et d’approfondir le debat.
Au cours de ce voyage, nous avons non seulement approfondi notre connaissance de cette institution partenaire mais egalement renforce les echanges qui nous unissent au Komacon et a la Coree avec l’appui de l’ambassade de France a Seoul et de l’institut francais. Une convention de partenariat a ete signee entre la Cite, representee par Pierre Lungheretti et le Komacon represente par son president, Lee, Hee-jae. Cette convention devrait permettre de mettre en place des echanges documentaires ainsi que des echanges d’expertises professionnelles tant dans les domaines de la conservation que de la valorisation des collections. Grace au soutien de la diplomatie francaise, nous avons convenu de differentes actions concluant l’annee France-Coree telles que des residences d’auteurs, des echanges documentaires, des editions conjointes, un projet d’exposition sur le webtoon en France…projets qu’il reste a approfondir et concretiser.
Melant des publics familiaux et professionnels, adultes et petits enfants, Cosplay et cravates, le Bicof est un rendez-vous a la fois convivial, festif et erudit. Il parvient a meler une vulgarisation de la bande dessinee a travers des expositions sur des auteurs, des thematiques et des dispositifs originaux et modernes avec une approche beaucoup plus scientifique et technologique de la bande dessinee. L’ambiance generale y est vraiment particuliere, a la fois joyeuse et serieuse. Assistant pour la seconde fois au Bicof, j’avais ete invitee une premiere fois en 2012, j’ai encore ete frappee par la ferveur du public, l’incroyable bouillonnement de cet evenement. Encore une fois, nous avons ete admirablement accueillis, par une equipe debordee mais chaleureuse et les liens professionnels et personnels tisses entre nos deux institutions seront a n’en pas douter des plus fructueux a l’avenir.
Catherine Ferreyrolle
Directrice de la bibliotheque de la Cite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ee
05 septembr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