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리뷰

초기화
글자확대
글자축소

시대극 - 베르사이유의 장미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작품 자체에 대한 평가 뿐 아니라 고전으로서 이후 순정만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하여 평가하여야 할 정도로 중요한 작품이다. 이 만화는 1972년부터 2년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연재되었고, 이후 순정(소녀)만화의 모든 테크닉과 표현의 원형이 되었다. 내용과 대사는 물론이고 그림체와 펜선, 구도, 배경과 심지어 말풍선의 형태까지. 따로 떼어놓고 보면 감정과잉으로 보이는 대사들 역시 이케다 리요코 특유의 분위기에 녹아들면서 이케다

2001-04-01 편집부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작품 자체에 대한 평가 뿐 아니라 고전으로서 이후 순정만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하여 평가하여야 할 정도로 중요한 작품이다. 이 만화는 1972년부터 2년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연재되었고, 이후 순정(소녀)만화의 모든 테크닉과 표현의 원형이 되었다. 내용과 대사는 물론이고 그림체와 펜선, 구도, 배경과 심지어 말풍선의 형태까지. 따로 떼어놓고 보면 감정과잉으로 보이는 대사들 역시 이케다 리요코 특유의 분위기에 녹아들면서 이케다 풍의 만화는 유행을 넘어서 하나의 전형, 교과서가 되었다. 이제는 이케다 리요코의 그림체나 구도가 식상한 것이 되어버린 시대이지만 고전으로서의 가치는 아직도 유효하다.

새로운 장르 사랑에 목숨을 거는 여주인공이 아니라, 고생고생하면서 자신의 삶을 찾아나가는 여주인공이 아니라, 그 삶 자체로서 당당히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주인공은 대하순정만화라는 새로운 장르와 함께 이십수년을 사랑받아왔다.

그렇기에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가지는 중요한 특징중 하나는 남장여인의 등장이다. 주인공 오스칼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소녀들만의 세계가 가지는 특징 중 하나인 남장 미인의 전형을 보여주면서 18세기의 여성과 20세기 후반의 소녀가 가지는 갭을 단숨에 메꾸어준다. 작품에 나오듯 15세가 되기 전에 결혼하고, 화려한 드레스와 보석으로 몸을 휘감은 채, 무도회의 꽃이 되어 속삭이는 일만이 일상이었던 18세기 귀족 여성은 이미 1970년대의 소녀들이 동일시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강하고 아름다우면서도 주체적인 남장미인 오스칼은 현대적인 캐릭터이자 동시에 소녀들의 아이돌이 될 수 있는 존재이다.

전반부의 오스칼은 남성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다. 작품 속에서 베르사이유의 귀부인들에게 흠모받는 것처럼 독자들, 즉 소녀들이 동일시하는 여주인공이라기보다는 남성적으로서 소녀들에게 동경받는 존재이다. 마치 극중에서 로자리가 오스칼에게 연정을 느끼는 것처럼, 독자들은 오스칼에게 열광한다. 반면 후반부에서 그녀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의문을 느끼고, 여성으로서 느끼는 앙드레에 대한 애정을 인정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오스칼은 소녀 독자들과 동일시된다. 물론 전반부보다 유약하고 전형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숨을 거두는 순간에 연인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 만세"를 외치는 오스칼은 60년대 순정만화의 주인공이 아니며, 1800년대의 여성도 아니다. 바로 1970년대의 소녀들이 동경하고, 되고 싶어하는 우상이며,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1800년대를 배경으로 한 만화이면서도 오스칼을 통해 1970년대의 소녀문화를 재현하여 보여주기에 역사만화라기보다는 순정만화인 것이다.

혁명이라는 소재를 순정만화에서 최초로 사용했던 것도 바로 베르사이유의 장미에서부터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혁명은 중요한 테마이지만, 사실상 순정만화의 원형, 즉 영원한 사랑을 더욱 강렬하고 급박하게 드러내 주기 위한 소재일 뿐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못한다.

주인공인 오스칼이 느끼는 신분과 사회 부조리에 대한 갈등은, 결국 그녀 자신이 혁명에 동참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혁명의 발발과 진행에 대한 서술과 그에대한 주인공들의 감정과 행동은 완전히 분리되어 나타난다. 3자의 입장에서 쓰인, 딱딱한 문체와 감정과잉의 대사는 사뭇 대조된다. 이 만화가 혁명 자체에 대해 그리고자 한 것이 아니라 혁명 속에서 남녀의 "영원한" 사랑이 얼마나 강하고 아름다운가를 보여주기 위해 혁명이 쓰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 속에서의 혁명은 단순하다. 1970년대 교과서를 따라서, 왕실의 몇몇 실책과 민중의 분노에 의해 진행된다. 그러나 격렬한 혁명의 진행은 주인공의 사랑과 정열에 필연성을 더해주면서 작품의 질을 높이고 있다는 점은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대하순정만화)가 가지는 한계이자 동시에 매력이 될 것이다.